디지털 환경이 빠르게 변화하는 지금, 기업의 경쟁력을 강화하고 지속 가능한 성장을 이루기 위해 직원의 디지털 경험(DEX) 개선이 필수 요소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Forrester Wave 보고서에 따르면, DEX를 효과 적으로 관리한 기업은 직원 생산성이 20% 이상 증가하는 성과를 보였으며, 이를 위해서는 안정적인 IT 환경과 운영 효율성 확보가 필수적 이라고 합니다. 또한, 기업 자산의 외부 노출이 증가하는 가운데, 더욱 정교해지는 보안 위협에 대응하기 위해 엔드포인트 취약점 관리뿐만 아니라, 기업이 인지하지 못한 외부 노출 자산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 사전 탐지 및 대응이 가능한 예방적 보안 접근 방식이 필요합니다.
이번 웨비나에서는 DEX 기반의 엔드포인트 통합 관리 및 운영 효율화 전략, 그리고 기업이 반드시 고려해야 할 보안 리스크 대응 방안을 소개합니다. Ivanti와 함께 엔드포인트 보안 및 관리 전략을 확인하시려면 지금 바로 등록해 주세요.🚀
2025년 03월 06일 (목요일) - 웨비나 방송 중에 있었던 질문과 답변 입니다.
국내 조립산업 형태의 제조업에 대한 선진 도입 사례에 대해 알려주실 수 있나요? 추가로, 도입시 어떤 효과를 가장 빠르게 얻을 수 있나요?
아직 국내에는 온프레미스 솔루션으로 팩토리 장비의 패치관리 용도로 도입된 사례가 있습니다. 이경우 관련 OT 장비의 보안성을 강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외국 사례는 추가 공유하도로 하겠습니다.
(질문) 최신 위협 방어에 있어 위협 탐지 엔진을 바탕으로 자동화 및 실시간 업데이트 수행이 가능한가요? 또한 서비스 확장을 위한 SSL 기반 트래픽을 포함한 다양한 트래픽을 확인할 수 있는지요?
엔드포인트에 에이전트를 통해서 취약점 및 패치 상테를 점검하는 방식이고 안티바이러스 엔진을 탑재하여 실시간 업데이트 및 보안 상황을 체크 할 수 있습니다. SSL트래픽을 확인하는 기능은 제공되지 않습니다.
일관성 있는 보안 기능 및 관리 방안 및 안티멀웨어/ 랜섬웨어 예방/ 시그니처, 패턴, 머신러닝, 행위기반등을 통한 다계층보안 기능등의 제공여부가 궁금합니다
보안관리 및 안티바이러스, 랜섬웨어 예방등은 제공되는 기능이고 엔트포인트에서는 위험기반의 취약점을 분석하여 실제 필드에서 영향을 미치는 취약점을 우선적으로 처리할 수 있도록 제공합니다. 별도의 행위기반 보안은 제공하지 않습니다.
ivanti가 관리하는 endpoint에는 BYOD기기까지 포함되나요? 그렇다면 Cover 되는 BYOD 기기의 종류는 어떤 것들이 있나요?
네 BYOD기기까지 포함됩니다. Windows, Mac, Linux 등 기기 지원합니다.
엔드포인드 관리 시 보안 취약점에 관련하여 자동 버전 체크 후 업데이트 기능이 있나요?
PMS(Patch Management System) 기능을 제공합니다.
(질문) AI를 악용한 사이버 위협이 날로 증가하는 가운데 보안 위험을 최소화하기 위한 메커니즘은 무엇이 있고 정교해지는 '공격자 위협'에 대응할수 있는 보안 전략이 무엇인지도 궁금합니다
저희가 분석하는 취약점은 단순하게 CVSS정보가 아니라 실제 필드의 위협을 수치화 한 VRS를 제공합니다. 이를 통해서 효율적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질문) DEX 기반의 엔드포인트 통합 관리 전략을 도입할 때, 기존 IT 자산 및 인프라와의 원활한 통합을 위해 어떤 기술적 요소를 고려해야 하는지요?
기존 ITSM과 자산관리 솔루션, 그리고 MDM 솔루션과의 연동, 다양한 디바이스 유형별 통합 관리 등을 제공하여야 하며 특히 API 기반 연동 및 통합 관리 플랫폼을 제공하여야 합니다.
[질문] 이반티 보안솔루션을 사용할 경우 사내 로컬과 원격(재택), 모바일 등 다양한 접속 경로로 사용할텐데 우리나라와 달리 일본 네트워크 환경에서의 보안 및 계정 인증 설정시 주의해야 할 부분은 무엇일까요?
해당 부분은 상세한 정보를 추가 확인 후에 개별 답변드리도록 하겠습니다.
Ivanti의 엔드포인트 보안 솔루션이 기존 보안 솔루션과 비교했을 때 가지는 차별점은 무엇인가요?
기존 보안솔루션은 Device의 관리 즉 차단을 위주의 기능이지만 Ivanti의 UEM/DEX는 디바이스 단말에 필요한 여러가지 정보들과 사용자 경험까지 포함시켜서 다양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그리고 선제적으로 IT장애나 이슈를 파악해서 선제적인 해결도 가능하며, AI Bot을 이용하여 자동 감지 후 해결할 수 있는 기능도 제공합니다.
(질문) 보안에 포함되는 개인정보 및 민감정보 보호나 클라우드 메모리나 cpu안에 암호화되지 않은 데이터에 대한 보호는 어떻게 해야 하는지요? 이 network 분야를 별도로 지원하는 솔루션은 없는지요?
저희는 클라우드 메모리나 CPU안의 데이터에 대한 보안은 제공하지 않습니다. 네트워크 분야는 VPN, NAC, L7스위치 솔루션을 제공합니다.
[질문] 엔드포인트 위협 정보에 대한 가시성은 어떻게 수집하며, 어떤 정보들이 제공가능한지 그리고 알려지지 않은 위협에 대응하기 위해 운용중인 타 위협 인텔리전스 솔루션이 있다면 충돌없이 연동이 가능한지 문의드립니다.
해당 부분은 상세한 정보를 추가 확인 후에 개별 답변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외부 노출 자산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는 것이 중요한데, Ivanti의 솔루션은 이러한 보안 리스크를 어떻게 관리하고 대응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지요
저희가 제공하는 EASM 제품에서 외부 노출 자산에 대한 모니터링 기능을 제공합니다.
[질문] Shadow IT로 인한 엔드포인트 보안 문제에 대한 대응 방안이 어떻게 이뤄지는지 문의드립니다.
해당 부분은 상세한 정보를 추가 확인 후에 개별 답변드리도록 하겠습니다.
클라우드 서비스 기반 보안시스템의 경우 어떤 유형(웹방화벽, SIEM 등)의 서비스를 제공해주시는지? 제공해 주시는 서비스 외 다른 서비스의 확장 계획은 없는지? 궁금하며, 클라우드 기반 보안시스템을 온프레미스 기반의 인프라에도 사용이 가능한지? 궁금합니다.
저희는 웹방화벽이나 SIEM 서비스는 제공하지 않습니다. 그리고 저희 클라우드 플랫폼 뉴론에 고객이 필요로 하는 기능을 계속 추가하고 있습니다. 온프라미스 솔루션도 제공합니다.
(질문) 다양한 디바이스와 OS 환경에서 일관된 사용자 경험(UX)을 보장하면서 보안성을 유지하는 효과적인 DEX 설계 방법은 무엇인가요?
UEM에서 DEX가 포함 되어 있으며, DEX Score로 표시 됩니다. 또한, 이반티 UEM 대시보드에서 IT 운영 및 패치 관리 등에 대한 가시성을 제공합니다.
[질문]UEM에서 DEX로 전환하기 위한 주요 이반티 보안 시스템 구성 요소는 어떻게 되는지요? 엔드포인트 단에서 DEX 전환에 따른 시스템 부하 등에 대한 부담은 없는지요?
UEM에서 DEX가 포함 되어 있으며, DEX Score로 표시 됩니다.
Ivanti의 엔드포인트 보안솔루션 도입 전에 기업 입장에서 준비해야 하는 사항이나 필수 고려사항은 무엇인가요?
해당 부분은 상세한 정보를 추가 확인 후에 개별 답변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질문]AWS등 대형클라우드 제공업체에서 업계의 주장과는 다르게 대형 장애 발생 및 장시간 서비스중단 사태가 빈번한데 귀사의 솔루션은 이런 서비스 안정 및 리던던시에서 타사와 어떤 차별점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해당 부분은 상세한 정보를 추가 확인 후에 개별 답변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질문]1.Ivanti의 엔드포인트 보안 플랫폼을 통해 다양한 운영 체제와 디바이스를 통합적으로 관리하기위한 전략은 무엇이고 Ivanti의 솔루션을 사용하여 보안 취약점을 신속하게 탐지하고 대응하는 방법이 궁금합니다. 2.Ivanti를 활용하여 엔드포인트에서 발생가능한 보안 위협을 사전에 예방하고, 보안사고 발생 시 빠르게 복구하는 전략은 무엇인지요? 솔루션 도입후 실시간 업데이트와 패치 관리와 같은 유지보수가 어떻게 이루어지도 궁금합니다.
1. Ivanti UEM/DEX는 windows/Linux/Mac 등 다양한 OS와 디바이스를 지원합니다. Ivanti는 취약점 위험 점수(VRS)를 제공합니다. 취약점중에서 정말 해야되는 취약점을 제공합니다. 2. Ivanti UEM은 Device에 상태를 모니터링 하여 DEX 스코어로 제공합니다. 해당 스코어를 확인하여 선제적으로 조치를 취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합니다. 보안 사고 발생시 복구를 할 수 있는 전략으로는 사전에 DEX 스코어를 이용하여 Endpoint의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VRS를 통해 취약점을 사전에 패치를 통해서 예방할 수 있습니다. 솔루션 도입후 Patch management를 이용하여 패치관리와 취약점 관리도 가능합니다.
해당 부분은 상세한 정보를 추가 확인 후에 개별 답변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질문] 주요 경쟁 제품이나 솔루션은 무엇이 있고, 경쟁 대비 차별화된 점은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해당 부분은 상세한 정보를 추가 확인 후에 개별 답변드리도록 하겠습니다.
클라우드 시스템과 온프레미스 시스템을 함께 운영하는 회사들이 많은데 이런 경우에는 클라우드 보안 솔루션을 별도의 온프레미스 보안 솔루션과 함께 운영하는 것이 좋을까요? 만약 함께 운영해야 한다면 운영 효율성 향상을 위해 통합 운영하는 사례도 있는지 궁금합니다.
현재 저희 고객은 기존 온프라미스에서 클라우드로 전환 중입니다. 기존 정보는 온프라미스에서 보고 있으며 컨넥터를 이용하여 온프라미스 정보도 클라우드 화면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동일 기능의 타사 제품은 어떤 것이 있나요? 추가로, 타사 유사한 기능을 갖춘 제품과 비교했을 때 차별화된 가장 큰 장점은 어떤 것이 있을까요?
해당 부분은 상세한 정보를 추가 확인 후에 개별 답변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질문]주요 보안침해 등이 발생했을때 및 비정기적인 보안리포트는 얼마나 자주 보내주시는지 궁금합니다.
저희는 보안 침해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지 않습니다. 현재 관리되는 엔드포인트의 취약점 패치 정보를 관리자에게 제공합니다. 옵션으로 설정 가능합니다.
UEM을 통해 DEX를 높이는 것이라는 개념은 매우 훌륭한데, 우리가 갖고 있는 선입견 즉 보안의 정도와 편의성은 반비례의 관계이다라는 점 때문에 균형을 잡기 매우 어려워서이죠. UEM을 통해 UX가 개선된다면 참 좋은 일인데, UEM이 관리자의 부담뿐 아니라 User의 Experience는 어떻게 개선할 수 있나요? 일관된 Management가 곧장 사용자의 Experience로 이어지지는 않을 것 같은데요
해당 부분은 상세한 정보를 추가 확인 후에 개별 답변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질문]재택근무 워크스테이션 공격탐지와 차단을 위해 어떤 방법으로 모니터링해야 하는지 로그별 대응방안 같은 정책이 있을까요?
저희는 공격탐지 기능을 제공하지 않습니다.
(질문) 침입 방어에 대한 전략은 안티바이러스 솔루션과 백업 모두 필요하며 백업은 더이상 보안에 대한 보험이 아닌 빠른 복구로 서비스를 지속적으로 유지하는 방향으로 가고 있는데, 보안 강화를 AI기반으로 하여 대응하는 방법이 가장 효율적인 방어가 될 지 궁금합니다.
저희는 백업 기능을 제공하지 않습니다. 안티바이러스는 제공합니다.
(질문) 엔드포인트 통합 관리 과정에서 사용자 생산성을 극대화하면서도 보안 리스크(예: 데이터 유출, 권한 오남용)를 최소화할 수 있는 접근 방식은 무엇인가요?
Ivanti UEM을 기반으로 직원의 디지털 경험(DEX)을 최적화하여 생산성을 극대화하면서도, 패치 관리 및 알려지지 않은 위협 대응을 통해 보안 리스크를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질문] 계정관리는 다양한 권한 설정이 필요하여 그 설정 위협의 수준이 다른데, 이반티에서는 클라우드 취약점 자동제거를 위해 이에 대한 방어를 위해 생성형AI등을 어떤 방식으로 활용하나요?
저희는 계정관리 기능을 제공하지 않습니다.
[질문]EDR(Endpoint Detection and Response)이 사전침해예방개념이라고 이해하면 될까요? 침해사고가 발생하기전 사전예방시스템이라고 해야할지요?
Ivanti는 EDR제품을 제공하지 않습니다.
Ivanti DEX가 기업의 보안 규제 및 컴플라이언스 준수를 어떻게 도와주나요?
기업의 Compliance 및 규제 관련 하여 준수 할 수 있도록 Template 제공, 신규 구성 및 설정으로 기업 환경에 맞게 수정 할 수 있습니다.
[질문] EDR은 도입도 도입이지만, 성공적인 운영이 중요한 관건이라고 생각됩니다. EDR의 운용을 위해 관리자가 고려해야 필수적인 사항들이 어떻게 되는지 문의드립니다.
저희는 EDR제품을 제공하지 않습니다.
[질문]클라우드에서 가상화의 가시성을 통한 모니터링은 서비스안정성,보안등 전반적인 서비스 퀄리트 향상을 위해 필수라고 생각합니다. 이런 가시성을 대시보드등 인터페이스등을 통해 접하는데 운용자필요에 따라 대시보드등의 커스토마이징이나 편집등이 용이한지 궁금합니다.
저희는 자동화 봇을 통해서 고객 맞춤형 기능을 제공합니다.
(질문) 보안 영역의 다양한 벤더들이 저마다의 아키텍처를 제시하고 있는데, 다양한 솔루션들을 엮어서 아키텍처를 구현하는데 고려할 점들이 어떤게 있을지 궁금합니다. 단일 벤더솔루션으로 충분히 안전한 보안 가치를 달성하는게 가능할지도 궁금합니다.
간단하게 답변하기 어려운 부분으로 해당 부분은 상세한 정보를 추가 확인 후에 개별 답변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지금 Ivanti DEX 주요 특징을 보고 있는데요, Threat hunting과 정형화된 프로세스가 존재하는 경우 이 threat hunting의 자동화 부분은 보이지 않네요? 사실 반복적이고 정형화된 처리 프로세스가 존재하는 경우 정해진 workflow에 따라 detect된 threat를 자동으로 처리하는 기능도 매우 필요한데, 이러한 기능은 각사의 workflow 와 연동해야 하는 부분인가요
해당 부분은 상세한 정보를 추가 확인 후에 개별 답변드리도록 하겠습니다.
확인 후 답변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질문] 조직 내 엔드포인트 위협 정보 모니터링 시 커널 레벨의 동작 로그를 활용하는 기능도 제공 가능한지 궁금합니다.
Ivanti은 커널 레벨의 동작 로그를 활용하지는 않습니다.
EDR의 문제점인 false positives/information overload를 어떻게 개서니 가능한지 궁금합니다
Ivanti는 EDR제품을 제공하지 않습니다.
현재 업계 동향 및 앞으로의 발전 방향에 대해서 문의드립니다
해당 부분은구체적으로 필요한 상세한 정보를 알려주시면 추가 확인 후에 개별 답변드리도록 하겠습니다.
Ivanti 솔루션이 기업이 인지하지 못한 위협을 사전 대응하기 위해 제공하는 차별화된 기능이나 AI 기반 예측 기술도 있는지요
저희가 제공하는 위험 기반의 취약점 정보가 타사와 차별화된 기능으로 AI가 탑재되어 있습니다.
[질문] 제로트러스트 보안 모델이 DEX 개선과 어떻게 연계될 수 있을까요? Ivanti의 보안 접근 방식이 사용자 경험을 저해하지 않으면서도 강력한 보호를 제공하는 방법이 궁금합니다
세션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DEX이 궁극적인 해결책이 될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질문) 솔루션 운영중에 발생했던 기술적인 이슈(기능,속도,보안 등)나 해결사례가 궁금합니다. 그리고 장애복구, 시스템 유지보수와 같은 기술적인 운용은 어떻게 이루어지는지요?
해당 부분은 요청한 케이스 별 정보를 실제 고객사 정보 확인후 개별 답변드리도록 하겠습니다.
개인 디바이스를 업무에 활용하는 BYOD 환경에서도 Ivanti DEX가 보안 및 운영을 효과적으로 지원할 수 있나요?
네, Ivanti DEX(Digital Experience)는 BYOD 환경에서도 효과적인 보안 및 운영 관리를 지원할 수 있습니다. Ivanti는 BYOD 환경에서 보안성과 사용자 경험을 동시에 고려하는 접근 방식을 제공하며, 특히 Ivanti Neurons 및 Ivanti UEM과 연계하여 제로 트러스트 보안, 디바이스 관리, 자동화된 IT 운영을 강화할 수 있습니다.
(질문) 네트웍 보안에 포함되는 개인정보 및 민감정보 보호나 클라우드 메모리나 cpu안에 암호화되지 않은 데이터에 대한 보호는 어떻게 해야 하는지요? 이 network 분야를 별도로 지원하는 솔루션은 없는지요?
이전에 답변드렸습니다.
기업이 외부 공격 표면을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최적의 전략은 무엇인가요?
EASM 제품을 도입하여 지속적으로 관리 모니터링이 필요합니다. 또한 내부 자산에 대한 관리도 필요합니다.
(질문) 기업이 DEX 기반의 엔드포인트 관리를 운영할 때 반드시 대비해야 할 주요 보안 위협(예: 공급망 공격, 제로트러스트 미적용)과 그에 대한 대응 방안은 무엇일까요?
해당 부분은 상세한 정보를 추가 확인 후에 개별 답변드리도록 하겠습니다.
AI와 머신러닝을 활용한 엔드포인트 보안 솔루션이 현재 어느 수준까지 발전했으며, 앞으로의 전망은 어떻게 보시나요?
해당 부분은 상세한 정보를 추가 확인 후에 개별 답변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질문] AI 기반의 침해공격일 경우 공격자가 액세스 권한을 얻은 후에 다른 서비스를 찾기 위해 다양한 접근을 시도할 수 있는데, 이에 대해 이반티에서는 AI를 활용하여 이러한 침해공격에 대해 어떤 방안을 준비하고 있나요?
저희는 침해 공격에 대한 대응이 아니라 공격전에 시스템에 대한 취약점 확인 패치 적용으로 공격전에 보호하는 부분이 핵심입니다.
머신러닝기반 이상행위 탐지를 위한 시스템을 많이 도입하는데 시스템에 이미 설치되어 있는 정상적인 도구를 사용하거나 간단한 스크립트, 코드를 메모리에서 직접 실행하는 기법인 파워셜을 이용한 파일리스 공격이나 Living-Off-The-Land 기법은 정상적인 행위로 감지되어 탐지가 어렵습니다. 이에대해 어떤 대응방안이 있는지요?
저희는 이상행위 탐지 시스템을 제공하지 않습니다.
[질문] Ivanti의 엔드포인트 보안이 일반 보안과의 가장 큰 차이점은 무엇인가요?
IT관점에서 엔드포인트 관리 및 취약점 관리, 외부공격 표면 관리, 패치 관리등을 제공합니다.
[질문] Ivanti의 엔드포인트 보안 솔루션 적용관련 이슈와 해결노하우가 궁금합니다
Success story는 저희 이반티 사이트에 접속하시면 확인이 가능합니다. 구체적인 솔루션별 문의사항이 있으시면 STK로 연락주세요.
[질문] Ivanti의 엔드포인트 보안을 도입한 대표적인 산업군이나 사례는 무엇이고, 어떤 성과가 있었나요?
주로 포커스를 맞춘 고객군은 IT 및 금융권으로 사용자 2000명에서 5000명정도이고 해외에는 많은 성공 사례가 저희 사이트에 올려져 있습니다. 구체적인 정보가 필요하시면 STK로 연락주세요.
한국 기업들이 글로벌 보안 트렌드에 맞춰가기 위해 가장 필요한 것은 무엇인가요?
한마디로 답변 드리기 어렵습니만 많은 해외 기업들이 디지털 드랜스포머에 포커스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부분이 향후 경쟁력의 척도가 될 것으로 보입니다.
최근 엔드포인트 보안 환경에서 가장 큰 위협 요소는 무엇이며, 그 위협이 증가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멀웨어 랜섬웨어, 피싱, 제로데이공격 등이고 여기에 AI 머신 러닝, 자동화로 기존 보안을 무력화 하려는 시도가 있습니다. 이에 해당하는 방패가 필요합니다.
Endpoint에 대한 patch/update 관리, 혹은 필수 보안툴의 강제 설치와 같은 Active한 작업 수행도 가능한가요? Neurons에는 상태에 대한 모니터링을 주로하는 passive 관리 중심으로 보이네요
저희는 패시브 액티브 동시에 가능합니다. 회사 기업 정책에 따라 강제화도 당연히 제공하는 기능으로 전사 인프라 보안 관리 제품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모니터링 솔루션이나 오픈소스들과의 연계나 통합에 대해서는 어떤 지원이나 호환체계를 제공하는지 궁금합니다
35개 이상의 다양한 컨넥터를 제공하여 쉽게 연동이 가능합니다. 또한 API를 제공하고 있어서 쉽게 연동, 통합을 제공합니다.
(질문) 엔드포인트 통합 관리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AI 및 자동화 기술을 적용할 때, 보안성과 가용성을 동시에 보장하는 최적의 운영 방안은 무엇인가요?
저희는 DEX 를 강화하는 방안이 보안성과 효율성을 강화할 수 있습니다.
SIEM과 같이 통합보안관제와 연동하여 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는 방법이 있는지와 EDR 구축 운영시 리소스 부담과 서버 부하 최소화 방안이 궁금합니다.
저희제품과 SIEM연동한다면 다양한 엔드포인트의 정보를 하여 사용자 측면의 경험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저희 제품은 EDR제품은 아닙니다. 서버는 엔드포인트 수에 따라 여러 구성요소를 분리 통합 설치할 수 있습니다.
[질문] 기존 IT 자산 및 타사 솔루션과 Ivanti DEX를 원활하게 통합할 수 있는지, 그리고 그 과정에서 고려해야 할 사항은 무엇인가요?
해당 부분은 상세한 정보를 추가 확인 후에 개별 답변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재택근무 및 하이브리드 업무 환경에서 엔드포인트 보안이 더욱 중요한 이유는 무엇인가요?
다양한 위치와 네트워크(가정, 공공 Wi-Fi 등)에서 업무를 수행하기 때문에 보안 경계가 약화되며, 관리되지 않는 디바이스 및 네트워크 사용 증가로 기업이 중앙에서 모든 디바이스를 관리하기 어려워지며, 패치 적용 지연 등의 이슈가 발생하게 됩니다.
재택근무 및 하이브리드 업무 환경에서 엔드포인트 보안이 더욱 중요한 이유는 무엇인가요?
다양한 접속 경로와 디바이스로 기업 네트워크에 연결되므로 이에 대한 엔드포인트 관리, 특히 보안이 중요할 수 밖에 없습니다.
[질문]엔터프라이즈 보안 아키텍처로 제로 트러스트 아키텍처 도입이 늘고 있는데요. Ivanti 솔루션 도입시, 제로트러스트 아키텍처 관점에서 고려할 사항들은 어떤 점들이 있을지 궁금합니다. 보안 개발조직과 운영조직 관점에서 답변 부탁드립니다
Ivanti 제품은 제로트러스트 관점에서 보면 기기 및 엔드포인트에 해당 된다고 할수 있으며 제로트러스트 원칙에 사용자, 기기에 대한 관리 및 강력한 인증 및 일관되고 중앙집중적인 정책 관리 및 접근제어 결정, 실행 필요에 해당 한다고 할수 있습니다.
해당 부분은 상세한 정보를 추가 확인 후에 개별 답변드리도록 하겠습니다.
DEX 점수는 표준화된 형태인가요, 아니면 도입사의 기준에 따라 설정할 필요가 있나요?
기본으로 제공되며 설정 불가 합니다. Device / Application / Security / Service 4개 영역으로 관리 되고 있습니다.
[질문]ai머신러닝으로 새로운 공격패턴에 대한 사전대응 차단이 가능한지 오탐의 가능성은 없는지 궁금합니다.
저희는 AI 로 공격패턴에 대한 차단 기능을 제공하지 않습니다. 해당 기능은 EDR 등 타 제품에서 제공하는 기능입니다.
1. 플랫폼 버전 업그레이드나 마이그레이션시 발생할 수 있는 S/W적인 오류나 사고가 발생할 때 긴급대응 방안이 있는지요? 2. 플랫폼 담당자 부재시에 발생할 수 있는 긴급상황에 대해선 어떻게 대응할 수 있나요? 3. 각종 랜섬웨어나 해킹 공격에 대한 대응 솔루션은 어떻게 되는지요?
해당 부분은 상세한 정보를 추가 확인 후에 개별 답변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질문) 재택근무 환경에서 VDI 환경을 사용하면 원격 작업자가 다양한 장치에서 표준 데스크톱 환경에 액세스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데, 이때 영구 데스크톱을 사용자에 맞게 지정할 경우 보안정책은 어떻게 적용하는 것이 좋을까요?
영구 데스크톱도 기업 내부의 엔드포인트 정책을 같이 적용하고 통일된 관리가 필요합니다.
[질문] STK에서는 클라우드 보안 솔루션으로 보안규정 준수에 따른 지속적인 클라우드 보안상태, 클라우드 자산 전체의 계정활동에 대한 인텔리전스, 인가된 ID 보호여부 등을 어떻게 지원해 주시나요?
해당 부분은 상세한 정보를 추가 확인 후에 개별 답변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답변 감사드리며, active 작동시 회사의 process에 따른 자동화도 가능한가요? 예를 들어 BOYD 기기 특성상 업데이트나 패치가 되지 않는 경우 더 이상 사용할 수 없다고 통보후 기기교체를 하도록 하거나, malware에 감염시 즉시 모든 접속을 차단하는 것과 같은...
MDM에서 차단 할수 있습니다.
예 해당 기능은 자동화 봇으로 설정하여 구현 가능한 것으로 보입니다. 자세한 부분은 추가 답변드리도록 하겠습니다.
Ivanti는 엔드포인트 보안을 강화하기 위해 어떤 핵심 기술을 적용하고 있나요?
엔드포인트 관리, 취약점, 패치, 외부 공격표면 관리, AI, 자동화 봇등 다양한 핵심 기술을 적용하고 있습니다.
(질문) 안전한 재택근무를 위해서는 시작부터 끝까지 실시간 수집, 분석, 통제가 필요한데 샌드박스 외부 유입 파일 멀웨어 감염 여부 검사 및 APT 공격 등 제로데이 공격에 대한 탐지 및 방어에 관한 조언은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저희제품은 XDR 제품이 아니라 엔드포인트 관리 제품입니다, 실시간 위협 대응은 제한적입니다.
데이터를 Encrypt 한 상태에서 연산을 수행하는 기능이 되면 좋을 것 같은데... 혹시 비슷한 기능을 제공한 사례가 있을까요?
해당 기능은 Ivanti 지원되지 않는 기능입니다.
보안 위협이 감지된 엔드포인트를 격리하는 명확한 프로세스가 있습니까? 엔드포인트 보안 사고를 탐지하고 복구하는 데 평균적으로 얼마나 걸립니까 보안 사고 대응을 위한 모의훈련(Tabletop Exercise) 또는 시뮬레이션을 정기적으로 진행합니까?
저희 제품은 엔드보인트 보안 위협 탐지 제품이 아닙니다. 관리 제품으로 제한적인 보안 기능 - 취약점 탐지, 패치 관리 기능을 제공합니다.
[질문] 이벤티 보안솔루션에서는 AI 기반으로 Single Sign-On 보안 환경을 구축할 경우, SaaS와 온프레미스 앱 모두에 대한 ID 및 액세스 관리는 어떤 방식으로 지원하나요?
저희는 다양한 인증 시스템과 연동 (SAML 인증)을 제공합니다.
[질문]발표자료에 "권한관리" 기능을 본것 같은데요. AD 기반의 Windows 권한상승 기능이 있나요? (Windows 사용자 AD 계정의 권한에 대해 특정 허용 작업시 권한 상승후 작업완료후 기존 권한으로 복귀)
해당 부분은 상세한 정보를 추가 확인 후에 개별 답변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질문) 복잡한 보안 작업을 자동화할 때, 보안 위협 탐지의 정확성을 어떻게 보장할 수 있는지 방법이 궁금하고 AI를 적용할 경우 오탐이나 미탐에 대비한 보완책으로 어떤 것들이 있는지 혹은 조치할 사항이 있습니까?
저희 제품은 보안 위협 탐지 엔진을 제공하지 않습니다.
[질문] Windows, Linux, macOS 등 다양한 OS 및 서드파티 애플리케이션 패치 관리가 가능한가요?
예 저희제품에서 제공하는 기능입니다.
AI와 같은 자동화 기능을 활용하여 엔드포인트 보안 및 운영 효율성을 높이는 방안은 무엇인지요?
저희 이반티 엔드포인트 관리 솔루션UEM/DEX 를 사용하시면 운영효율성을 높이실 수 있습니다.
중소기업과 대기업이 엔드포인트 보안을 구축할 때 직면하는 주요 과제와 해결 방안은 무엇인가요?
제한적인 예산에서 향후 투자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SaaS로 도입하신다면 우선적으로 효율적인 보안 시스템 구축을 하실 수 있습니다.
급변하는 비즈니스 문제 해결에 있어서 한번은 아니고 지속적으로 한지 패치 방식에 대해서 좀더 설명해 주세요
패치관리는 일회성이 아닙니다 저희가 제공하는 패치 인텔리젼스를 통해 다양한 엔드포인트를 관리 할 수 있으며 실패한 엔드포인트 상태를 확인하여 자동 재적용도 가능합니다.
(질문) 이용하려는 목적이, PC관리의 편의성을 위해서인지 사내 보안을 위해서인지 주 목적에 따라서 솔루션이 달라져야 하나요?
예 맞습니다. IT팀에서는 관리 목적이며 보안팀에서는 보안강화가 목표입니다. 이경우 생산성과 보안성을 같이 올릴 수 있는 방안을 찾아야 합니다. 저희 제품은 이 접점에 있는 제품입니다.
[질문]각각의 서버에 보안커널을 올리는 것이면 각각의 설정값을 각각의 서버마다 따로 세팅해야 하는 것인가요?
저희 제품은 보안 커널을 올리는 것이 아니라 에이전트를 설치하는 방식입니다.
설명대로 big bang 방식이 아닌 phased rollout 적용이 가능하다는 것은 인상적인데, 비용적인 부분에 있어서도 phased rollout이 유리할까요
예 비용적인 부분에서 점진적인 도입이 기업 부담을 줄일 수 있습니다. 단계적인 확대를 권고 합니다.
해당 부분은 확인 후에 개별 답변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질문] 데모보니까 한글화가 안되어 있는거 같은데요. 한글화 계획은 어떻게 되나요?
한글화 계획은 잡혀있습니다. 이미 중국, 일본은 제공하고 있으며 한국도 가능한 올해안에 제공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Neurons Bots 같은 경우, 사내 security tool 들이 이를 threat로 인식하여 kill 할 수도 있지 않을까요? White list로 매번 따로 관리하여야 할까요
뉴런 봇에서 다양한 플로우를 생성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리스트로 관리도 가능하고 선별적으로 해당 툴을 사용못하도록 강제화 할 수 있습니다. 이 기능은 스케줄링 가능합니다.
도입을 시작하기 전에 준비해야 할 사항과 고려해야 할 사항이 무엇이 있나요? 또, 도입을 진행한다면 도입 기간 중에 가장 어려웠던 점이 무엇인가요?
해당 부분은 실제 도입 사례 정보를 추가 확인 후에 개별 답변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질문) 현재 실제적으로 어느 분야에서 활발히 적용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향후 기술적 발전 방향은 어떻게 될 것으로 보시나요?
IT 및 금융권, 제조쪽에서는 엔드포인트 관리를 적용하여 사용중이고 기존 온프램에서 클라우드로 전환하면서 DEX, AI 자동화, 다른 제품과의 융합으로 발전 중입니다.
보안 사고 발생 후 엔드포인트 장치를 복구하는 데 얼마나 랜섬웨어 공격으로 여러 엔드포인트가 감염될 경우 대응 방안이 마련되어 있습니까?
이번에 발생된 클라우드스트라이크를 저희 제품으로 복구하는 케이스 정보가 있습니다. 랜섬웨어 마다의 유형이 차이가 있습니다.
[질문] 사용자 업무 중단을 최소화하면서 패치를 적용할 수 있는 기능(예: 예약 업데이트, 사용자 승인 기반 패치 적용 등)이 있나요?
예, 해당 기능은 설정으로 제공합니다.
(질문) 재택근무 환경에서 원격 작업자가 다양한 장치에서 표준 데스크톱 환경에 액세스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데, 이때 영구적으로 데스크톱을 사용자에 맞게 지정할 경우 보안정책은 어떻게 적용하는 것이 좋을지 궁금합니다.
보안정책은 회사의 특성과 통제 관리 정책에 따라 상이합니다. 엔드포인트에 대한 설정 및 앱통제, 취약점관리, 패치관리 등은 공통적으로 적용되는 보안정책입니다.
연동이 가능하다 하시는 의미는 UEM의 기능들이 RstfulAPI등의 방식으로 data stream만 설정하면 된다는 의미인가요, 아니면 개별적 요구에 따라 python등의 언어를 이용하여 연동해야 한다는 의미인가요
필요한 경우에는 RESTful API를 통해 연동도 제공가능합니다.
저희는 컨넥터를 이용하여 35개 벤더 제품과 직접 연결이 가능합니다.
Ivanti의 보안 및 패치 관리 솔루션이 SaaS 기반으로 제공되는 경우 온프레미스 대비 장점과 단점은 무엇인가요?
온프램 대비 장점은 비용 효율성과 자동화된 패치관리, 확장성이 있으며 단점은 민감 정보에 대한 관리, 고객사의 정책, 요청에 따른 커스터 마이징 제한이라고 볼수 있습니다.은
Mac어드레스를 가진 IoT디바이스도 관리할 수 있는지 궁금합니다.
예 IoT 디바이스도 제한적으로 관리 가능합니다.
Ivanti 솔루션이 API를 통해 다른 보안 플랫폼과 얼마나 유연하게 통합될 수 있나요?
Rest API 연결 및 클라우드 연결, On-Premise 제품은 Connector를 이용하여 통합 연결 할수 있습니다.
[질문] 사이버보안 취약점 자동제거시 오탐에 의한 오류로 동작할 수 있는데, 이에 대해 이반티 솔루션은 AI 기반 인텔리전스 기능으로 검증하여 오류를 자동으로 줄여가나요? 아니면 관리자가 직접 검증에 참여하여 줄여 나가나요?
취약점 자동 제거가 아닌 패치 적용을 통해 취약점을 제거합니다. 취약점은 저희가 이미 적용된 익명화된 고객 적용 정보바탕으로 검증된 패치를 적용합니다. 따라서 고객은 오류를 줄일 수 있습니다.
Microsoft, Palo Alto Networks, CrowdStrike 등과 비교했을 때 Ivanti 만의 강점은 무엇인지요?
저희는 Microsoft 와 경쟁하고 있으며 저희 제품은 MS뿐만 아니라 맥, 리눅스의 엔드포인트 관리를 제공합니다. 또한 다양한 제품 플랫폼이 단일 인터페이스로 제공하고 있습니다.
패치 관리 자동화가 불가능한 환경 예을들어 산업용 OT 시스템 레거시 시스템 등 에서는 어떤 대안을 적용할 수 있나요?
온프램 솔루션으로 패치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패치를 다운받아서 이동한 후에 내부 패치서버로 적용하여 관리할 수 있습니다. 많은 산업환경에서 사용중입니다.
감사합니다.
아, connector를 제공하고 계시군요. 이 connector 는 일종의 wrapper API가 되는 것인가요, 아니면 필요 서비스당 하나의 agent가 생성되어 관리되는 형태인가요
저희가 제공하는 컨넥터 서버가 양쪽의 게이트웨이로 연결되어 관리하는 형태입니다.
유익한 내용 참고하겠습니다.
등록 했습니다.